• 주메뉴 바로가기
  • 본문 바로가기

수도권in뉴스

명사탐방

  • 유튜브
  • 페이스북
  • 카카오채널
  • 인스타그램
  • 네이버블로그
  • 회원가입
  • 로그인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경제일반
    • 취업
    • 컨설팅
  • 국제
  • 문화연예
    • 공연
    • 스포츠
    • 영화
    • 문화재
  • 생활
    • 식품/음료
    • 생활용품
    • 건강
    • 결혼
    • 육아
    • 화장품
  • 교육
    • 교육청
  • 포토뉴스
    • 명사탐방
    • 나눔행사
    • 축하메세지
  • 경찰청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 자료실
    • 공지사항
    • 포토뉴스
  • 컬럼
메뉴 검색창 열기

전체메뉴

닫기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경제일반
    • 취업
    • 컨설팅
  • 국제
  • 문화연예
    • 공연
    • 스포츠
    • 영화
    • 문화재
  • 생활
    • 식품/음료
    • 생활용품
    • 건강
    • 결혼
    • 육아
    • 화장품
  • 교육
    • 교육청
  • 포토뉴스
    • 명사탐방
    • 나눔행사
    • 축하메세지
  • 경찰청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 자료실
    • 공지사항
    • 포토뉴스
  • 컬럼

포토뉴스

  • 명사탐방
  • 나눔행사
  • 축하메세지
  • 지구가 많이 아프다

    지구가 많이 아프다. 지구는 지금 몸살을 알고 있다. 지구촌 곳곳이 물난리, 불난리, 가뭄으로 어느 곳, 한 군데 안전지대가 없다. 인간이 지구에서 안전하게 살 수 있는 환경기준인 '지구위험한계선' 9가지 중 생물다양성과 기후변화, 담수, 합성 오염물질, 등 6가지가 이미 위험 수준으로 악화됐다. 가장 먼저 야생 동물이 멸종하면서 19세기 후반부터 생물 다양성 경계가 무너졌다. 토지는 물론 호수, 강과 같은 담수 역시 20세기 초부터 위험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인류가 만든 플라스틱과 살충제 등 합성 오염물질은 1950년 이후 50배나 증가해 지구 건강지표를 악화시켰고, 기후변화 역시 1980년대 후반부터 한계선을 넘어섰다. 우리는 계속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 아직 위험 한계선을 넘지 않은 3개 지표 가운데, 해양산성화와 대기 질 등 두 지표도 위험 수준에 근접했다고 한다. 유일하게 안전 범위에 있는 건 오존층 변화인데, 인류 공동의 노력 이후 지표가 점차 좋아졌다고 한다. 우리는 단순히 지구 평균 기온을 낮추는 데에만 노력하는 게 아니라 지구 환경을 원래대로 복구하고 보호해야만 한다고 한다. 여기에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많은 사람들에게 지

    • 송승현 기자
    • 2024-07-03 14:13
이전
1 2 3 4
다음

포토리뷰

더보기
  • 인천서구문화재단, ‘꿈의 무용단’ 인천 서구 사전 참여의향 접수 시작!
  • 안산시, 청소년자유공간 '별다락' 안산동 개소…꿈과 쉼의 공간
  • 김포금쌀 대통령상 수상…전국 고품질 쌀 선발대회 수상 쾌거

랭킹뉴스

더보기
  • 1

    인천 남동구 구월2동 방위협의회, 굿윌스토어와 발달장애인 자립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및 후원 물품 전달

  • 2

    경찰청, 2026년 사이버성폭력 집중단속 실시

  • 3

    인천시, 친환경 습식 표면처리 실증 플랫폼 업무협약 체결

  • 4

    연수구시설안전관리공단, 2026 청렴 슬로건 공식 발표

  • 5

    과천시,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전 상점가 참여

  • 6

    인천 서구, 겨울철 설해 대비 도로 제설을 위한 행정복지센터 담당자 교육 실시

  • 7

    인천시교육청, 인천 AIㆍSW 미래채움 교육페스티벌 개최


실시간 뉴스

더보기
  • 2025-11-21 13:20

    인천서구문화재단, ‘꿈의 무용단’ 인천 서구 사전 참여의향 접수 시작!

  • 2025-11-21 11:54

    안산시, 청소년자유공간 '별다락' 안산동 개소…꿈과 쉼의 공간

  • 2025-11-21 11:53

    김포금쌀 대통령상 수상…전국 고품질 쌀 선발대회 수상 쾌거

  • 2025-11-21 11:51

    인천시, 원도심 1호 국내복귀기업 ㈜서연탑메탈과 맞손…지역 경제 '활력' 불어넣다

  • 2025-11-20 14:49

    과천시,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전 상점가 참여


  • 신문사소개
  • 찾아오시는 길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책임자 : 송승현)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기사제보
  • 문의하기
로고

주소 : 인천광역시 연수구 원인재로 180
등록번호 : 인천,아 01822 | 등록일 : 2024.07.08 | 발행인 :진광수 | 편집인 : 송승현
|대표전화 : 1588-5489
Copyright @수도권in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ediaOn

UPDATE: 2025년 11월 21일 13시 20분

최상단으로
검색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