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Ways Incheon … 인천을 중심으로 전 세계로 뻗다.

- GTX-D Y자, E 노선 확정에 인천 패스·인천 바다패스 까지 -
- 전국 반나절 생활권, 수도권 주요 거점 30분 이동 실현 … 인천시민의 발에 날개를 달다

 

올 1월 인천시민의 염원이 반영된 GTX-D Y자와 GTX-E 노선이 확정된 데 이어 3월 GTX-B노선이 2030년 개통을 목표로 착공에 들어갔다.

 

인천국제공항~청라~작전과 장기~검단~계양노선이 대장에서 만나 강남을 거쳐 삼성에서 분기해 교산과 원주 두 갈래로 운행

인천국제공항~청라~작선~대장~연신내~구리~덕소

인천대입구~인천시청~부평~서울역~청량리~경기 마석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는 수도권 주요 거점 간 이동을 30분 내로 가능케 해 인천시민의 이동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전망으로 보인다.

 

2030년 GTX-B노선이 개통되면 송도국제도시에서 서울역까지 30분 이내 도착이 가능해진다. 또한 GTX-D Y자 노선 확정으로 수도권 서부 시민의 이동권 보장뿐만 아니라 인천국제공항의 국제적 위상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

 

교통의 발달은 삶의 질뿐만 아니라 도시와 나라의 미래를 바꾸는 원동력으로, 인천시의 거침없는 철도사업은 1899년 대한민국 최초의 철도 경인선이 시작됐던 인천을 또 한 번 부흥케 하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반 시설 구축에 이어 인천시는 효과적인 재정 운용 정책에도 묘수를 두며 시민의 높은 만족도를 끌어냈다. 인천시는 5월 1일 대중 교통비 지원 사업인 ‘인천 아이(i)패스’를 전격 시행했다.

 

월 60회를 한도로 대중교통 비용의 20% 환급하는 정부의 K-패스 혜택 범위를 확대·보완*했으며 8월부터는 인천시 광역버스를 30일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인천 광역 아이(i)패스’ 사업을 시작하며 더 넓고 두터운 시민의 다양한 대중교통 이용 선택권을 보장했다.

*K-패스의 월 60회 한도를 무제한으로, 청년 적용 연령 19세부터 39세까지, 65세 이상 어르신 환급률 20%에서 30%로 확대.

 

‘인천 광역 아이(i)패스는 광역버스 정기권 개념으로, 8만 원을 충전하면 30일 동안 인천과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의 무제한 이용이 가능하다.

 

인천시가 지난 6월, 2주간 실시한 민선 8기 2년 차 주요 사업에 대한 시민 대상 설문조사에 따르면 ▲인천 아이(i)패스·광역 아이(i)패스, 무제한 대중교통비 지원(4.38점) ▲인천발 KTX 2025년 개통 목표 및 GTX-B 올해 3월 착공(4.34)이 10대 사업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인천 아이(i)패스’는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 응답자의 90.3%가 사업에 만족하고, 91%가 대중교통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으며 현재까지(12월 20일 기준) 누적 이용자 수는 22만 4,419명에 이른다. 인천시가 2024년 9월 13일부터 25일까지 12일간 인천시 누리집을 통해 실시했으며 총 1,088명이 참여했다.

 

한편 시는 전국 최초로 시민들이 시내버스 요금(1,500원)으로 여객선을 이용할 수 있는 인천 보물섬 프로젝트 제1호, ‘인천 아이(i) 바다패스’ 사업을 내년 1월부터 전격 시행한다.

 

버스나 지하철 등 육상 대중교통 요금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해상교통 운임의 부담을 줄여 여객선의 대중교통화를 실현하는 것은 물론, 섬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인천시의 전략이다.

 

실제로 유정복 시장은 인천을 국내 곳곳으로 연결해 진정한 수도권의 중심도시로 정립하고 나아가 초일류도시가 되는 밑거름이 될 교통정책의 중요성에 대해 여러 차례 강조 하였다.

 

 

 

수도권in뉴스 사태형 선임기자 |